치찰음이 무엇이고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자
치찰음 은 발음할 때 공기가 치아와 혀 사이의 좁은 틈을 빠르게 통과하면서 나는 쉿 소리 같은 마찰음입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소리들이 치찰음에 속합니다:
ㅅ (예: "사과")
ㅆ (예: "쌀")
영어의 s, sh, z, ch, j 소리 (예: see, she, zoo, chip, jam)
왜 치찰음이 듣기 불편할까?
고주파 성분이 강함
치찰음은 일반적으로 4k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 에너지가 몰려 있습니다. 이 때문에 소리가 날카롭고 귀에 거슬리게 들릴 수 있습니다.
마이크와 스피커에서 과장될 수 있음
특히 녹음이나 방송에서는 마이크가 치찰음을 과도하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보정 없이 그대로 출력되면 "쉬익", "지직" 하는 소리가 매우 자극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발음이 뚜렷하지 않으면 불쾌감 증가
발음이 부정확하거나, 치아 구조상 공기가 고르게 흐르지 않으면 치찰음이 더 거칠고 지저분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청각 예민한 사람에게 민감하게 들림
일부 사람들은 고주파 음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특히 치찰음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보컬 녹음 시 팝 필터 사용
믹싱 단계에서 디에서(De-esser) 플러그인으로 치찰음 억제
발음 훈련을 통해 혀와 치아 위치 조절
cakewalk에 내장되어 있는 디에서(De-esser) 플러그인 활성화 및 사용 방법
친절하게도 cakewalk by BandLab 무료 버전에서는 치찰음을 줄일 수 있는 VX-64 Vocal Strip이라는 플러그인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magage Layouts을 클릭합니다.
vst Audio Effects 선택하고 아래 show Excluded를 선택하면 오른쪽에 내장되어 있지만 사용하지 않고 있는 effects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x-64 vacal strip을 선택하고 Enable plug-in 버튼을 클릭해서 플러그인을 활성화해 줍니다.
다시 show Enabled(사용 가능한)를 선택해 보면 vx-64 strip이 포함될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창 cakewalk 폴더 안에 vx-64 strip이 포함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적용할 왼쪽 오디오 트랙 fx에 끌어다 놓습니다.
vx-64 strip을 열어서 상단에 deesser 버튼을 켜주고 listen을 온으로 활성화해 줍니다.
치찰음을 발음해 보면서(마이크에 대고 츠츠츠츠 발음해 봅니다) frequency값을 조정해 봅니다 값을 내릴수록 치찰음이 더 잘 잡힙니다. 치찰음을 완전히 없애고 싶으면 최대한 내려 줍니다. 이제 dapth값을 올려 치찰음 소리가 커지는지 확인합니다. depth값을 높일수록 더 잘 들리고 낮출수록 잘 안 들립니다.
치찰음이 잘 들려야 정상이고 잘 들리는 만큼 없앨 수 있다는 것입니다.
depth값이 높을수록 치찰음이 그만큼 많이 제거됩니다. depth값을 높여 치찰음이 잘 난다면 그만큼 치찰음이 잘 제거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depth 값을 낮춰 치찰음이 안 난다면 치찰음이 그만큼 제거되지 않습니다.
deesser는 치찰음을 잡아내 주는 플러그인입니다. 반대로 치찰음이 아닌 아아아아 소리를 내보면 소리가 안 들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listen버튼은 off 해 둡니다.
off 해둔 상태에서 들어보면 아까와는 반대로 치찰음이 제거된 부드러워진 츠 발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depth값을 낮추면 치찰음이 강해지는 걸 들을 수 있고 depth값을 높이면 치찰음이 약해지는 걸 들을 수 있습니다.
'뉴스·정보 > 유튜브·오디오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쓸만한 무료 노래방 앱, daw 부럽지 않네(starmaker) (0) | 2025.05.01 |
---|---|
무료 스마트폰 DAW n-track studio daw 사용해보니 (0) | 2025.05.01 |
cakewalk 소리 조절 하는 여러가지 방법 (0) | 2025.04.30 |
무료 케이크워크 DAW로 홈레코딩 하는 방법(노래 녹음부터 mp3파일 추출까지) (0) | 2025.04.30 |
cakewalk by BandLab vs studio one 둘다 사용해보니 (0) | 2025.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