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W로 노래 녹음부터 이펙터 적용 믹싱 작업 MP3파일 추출까지
찾아보면 기본적인 홈레코딩 할 수 있는 DAW가 많이 있는데 그중 사람들이 많이 쓰는 DAW 중 하나인 케이크워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료버전은 cakewalk by BandLab입니다.
https://www.bandlab.com/products/cakewalk
Cakewalk by BandLab | BandLab Products
The next generation of SONAR, the world’s finest and most powerful desktop DAW - now FREE.
www.bandlab.com
여기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Cakewalk by BandLab으로 mr에 녹음 진행하는 순서
1. 프로젝트 생성
설치된 cakewalk 프로그램을 열어서 뉴프로젝트를 선택하고 그 안에 asic.cwt를 선택합니다.
1번 Audio 트랙과 2번 midi트랙이 자동생성 되어 있는데 유튜브에 있는 mr을 이용해 녹음하거나 저장된 mr을 불러와 노래를 녹음 할 것이기 때문에 midi트랙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삭제합니다.
2. mr에 맞춰 노래 녹음 하기
mr 오디오를 위한 트랙 하나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통해 만들어 줍니다.
1번 트랙은 노래를 2번 트랙에는 mr을 녹음하거나 저장된 mr를 불러 옵니다.
오인페 연결해 녹음 진행
준비한 오인페를 usb로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컴퓨터에 연결된 오인페를 통해 노래와 mr을 녹음하기 위해 마이크와 스마트폰을 연결합니다.
스마트폰과 오인페를 연결하기 위해 C타입 to TRS5.5 잭을 준비해 두셔야 합니다. mr을 스마트폰으로 직접 녹음하지 않고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거면 없어도 됩니다.
다시 돌아와 cakewalk Audio 트랙에는 input 값으로 오인페의 왼쪽을 통해 들어오는 노래를 선택합니다.
두번째 트랙에는 오인페의 오른쪽을 통해 들어오는 mr을 녹음합니다.
참고로 ASIO드라이버는 ASIO를 지원하는 오인페를 사용하면 자동 생성 됩니다. ASIO드라이버는 노래할 때 레이턴시를 줄여줍니다. 레이턴시는 음악을 들으면서 노래할 때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가를 결정합니다. ASIO 드라이버 없이는 레이턴시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노래를 부를 때 내 목소리가 노래보다 한참뒤에 들립니다.
레이턴시 줄이지 않고는 박자 맞춰가며 녹음하기 힘듭니다. 10만원 미만 오인페에서도 ASIO드라이버를 지원하는 것들이 있으니 살펴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두번째 트랙에는 직접 오인페를 통해 MR을 녹음해도 되지만 mr을 미리 저장해 놓거나 다운로드한 mr 파일을 저장된 컴퓨터에서 불러와도 됩니다.
오디오 파일은 Wave 및 mp3파일 어느것이나 다 지원되니 그 점 참고하시면 됩니다.
녹음한 파일은 Save As를 통해 저장해 놓고 나중에 open 해서 다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저장 단축키는 ctrl+S입니다.
3. Audio트랙에 reverb 이펙터 사용하기
노래를 녹음하고 이펙터를 적용하거나 이펙터를 설정해 놓고 노래를 녹음해도 됩니다.
이펙터를 먼저 설정해 놓고 노래방 에코 같은 효과를 즐겨도 됩니다.
이펙터는 기본적으로 reverb(리버브)와 delay(딜레이)를 통해 울리는 공간에서 노래하는(reverb) 느낌이나 노래가 뒤이어 반복되는 느낌(delay)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믹싱 작업(mr에 노래가 튀지 않게 다듬는 작업)을 위한 eq와 compressor 등도 사용합니다.
1번으로 갈수록 저음 3, 4번은 중음 5,6번으로 갈수록 고음 영역입니다 eq의 각 영역을 줄이거나 높여서 고음 중음 저음의 양을 결정합니다.
eq는 고음 중음 저음의 양 조절을 통해 가볍고 밝은 소리(고음)를 만들어 주거나 무겁고 중후한 소리(저음)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컴프레서는 노래 부를 때 저음과 고음 등에서 들쑥날쑥 하게 커지는 목소리를 일정 범위 안에서 조절해 줍니다. 보통 소리를 압축한다고 표현합니다.
위에 그림처럼 threshold는 db(데시벨)기준 값입니다. 값을 설정하면 그 db(데시벨)이상으로 올라가는 소리는 ratio값의 조정을 통해 일정 수준이상으로 못 올라가게 굴곡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일정 db이상의 소리는 하얀 그래프를 타고 소리 크기가 억제됩니다.
목소리 크기가 저음과 고음 영역에서 너무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면 기준점(threshold)을 낮추고 ratio를 꽉꽉 눌러 줍니다. 소리가 만족스럽게 정돈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컴프레서를 잘 쓰면 소리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면서 mr과 겉돌지 않고 잘 어울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노래 미싱 작업(mr과 노래가 잘 어울리도록 합치는 작업)에서 상당히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오디오 트랙에 이펙터 끌어다 놓기 적용하기
사용할 이펙터는 오디오 트랙의 fx +버튼을 클릭해 찾습니다.
또는 오른쪽 Plugins 작업창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리버브 플러그인을 마우스로 끌어다 오디오 트랙 fx에 놓습니다. 그런 다음 적당한 리버브 효과를 선택해 봅니다.
마찬가지로 딜레이 효과를 마우스로 끌어다 놓습니다. 여러 옵션을 선택해 보며 적당한 효과를 선택합니다.
소리를 끌 오디오 트랙에 M 무트를 선택하거나 선택한 트랙의 소리만 들으면서 체크하고 싶으면 S solo를 선택하면 됩니다. 둘 중에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습니다. 두 트랙에서 나는 소리를 다 들어야 하는데 안 난다면 두 버튼에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노래도 다 녹음했고 이펙터도 다 적용했다면
4. mp3파일로 추출하기
오른쪽 상단의 export 버튼을 클릭해 mp3 파일로 내보내면 됩니다.
'뉴스·정보 > 유튜브·오디오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kewalk에서 치찰음 소리 줄여주는 deesser( VX-64 Vocal Strip) 플러그인 활성화 하기 (2) | 2025.04.30 |
---|---|
cakewalk 소리 조절 하는 여러가지 방법 (0) | 2025.04.30 |
cakewalk by BandLab vs studio one 둘다 사용해보니 (0) | 2025.04.30 |
cakewalk by BandLab에서 서드파티 무료 오토튠 사용해보니(설치 및 설정 실행하는 방법) (1) | 2025.04.29 |
콘덴서 마이크 vs 다이나믹 마이크 사용후기 (0) | 2025.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