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정보/IT·컴퓨터·과학

외계인이 사는 골디락스존...블랙홀 주변에 살고 있을 수 있다.

by 노마드힐링 2021. 9. 22.
반응형

블랙홀 주변에 외계인이 살고 있을 수 있다.

일단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여러 조건이 필요하겠지만,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에너지를 제공하는 태양과 남은 태양에너지를 방출할 에너지 배출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마침 지구를 보면 태양이 적당한 거리에서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고 사방이 우주로 뚫려 있어서 에너지 배출구도 갖춘 상태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지금 제 블로그를 보고 계신 겁니다.

 

지금껏 많은 천문학자들이 그 비싼 망원경을 가지고 외계 생명체를 찾기 위해 대부분 태양과 비슷한 별을 찾고 그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그 노력의 결과 지난 1995년 페가수스자리 51번 별 곁에서 처음으로 외계행성을 발견한 천문학자 미셸 메이요(Michel Mayor)와 디디에 퀘로즈(Didier Queloz)가 2019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 비즈한국의 포스팅 초거대질량 블랙홀 주변에 외계생명체가 있다?! 를 읽으며 흥미로운 점을 발견해서 간단히 정리해서 소개해 주고자 합니다. 사실 좀 놀랐습니다. 이런 상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미지출처:비즈한국

 

반응형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초거대질량 블랙홀 주변에 외계 생명체가 있다. 제목부터 충격적이지 않습니까? 아니 주위에 빛도 없고 블랙홀 속으로 언제 빨려 들어갈지 모르는 곳에 외계 생명체라니 위에 분명히 태양이 필요하다고 했잖아요? 그럼 빚 문제만 아니 빛 문제만 해결하면 행성이 블랙홀 주위를 돌면서...

 

블랙홀이 작으면 안돼고 블랙홀이 거대하다면 좀 더 구체적으로 태양 질량의 약 1억 6000만 배 되는 아주 육중한 초거대질량 블랙홀 주변이라면 골디락스존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골디락스존이란 블랙홀처럼 중력이 아주 강한 물체는 그 주변의 시공간을 아주 깊게 왜곡한다고 합니다. 이 깊게 파인 중력장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빛은 서서히 에너지를 잃습니다. 그 결과 중력장을 벗어나면서 빛의 파장은 점차 길게 늘어나는 적색편이를 겪게 됩니다. 이를 중력 적색 편이(Gravitational redshift)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깊게 파인 중력장 속으로 빛이 흘러가는 과정에서는 정반대 효과를 얻습니다. 오히려 빛이 에너지를 얻으면서 파장이 더 짧아지는 청색편이를 겪을 수 있습니다. 바로 여기서 블랙홀 주변에 생명이 살 수 있게 되는 놀라운 마법이 펼쳐집니다. 블랙홀 주변에 생명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바로 골디락스존이라 부릅니다.

이미지출처:비즈한국

 

 

우주가 팽창하며 빛이 식어서 남아 있는 빛 에너지로, 배경 복사 에너지는 절대온도 2.7도(섭씨 약 -270도)의 아주 낮은 온도로 골고루 차갑게 식어 있다고 합니다. 위에서 보면 오랜 적색편이 현상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그런데 반대로 블랙홀이 강하면 흩어져 있던 배경 복사 에너지를 강한 중력으로 한 곳으로 모으는데 이때 에너지를 얻으며 파장이 짧아지는 청색 편이 현상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골디락스존에 위치한 행성을 청색편이된 빛이 통과하게 되는 겁니다. 이과정에서 행성은 빛 에너지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뒤에는 블랙홀 앞에는 배경 복사에너지가 모이면서 태양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입니다. 이제 블랙홀 주위를 빠른 속도로 공전하면서 적당한 에너지를 받으며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갖추게 되는 것입니다. 좀 황당하지만 그렇다고 합니다. 더 놀라운 얘기가 남아 있습니다. 블랙홀 중력이 워낙 크다 보니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지 않으려면 그 주위 행성은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공전한다고 합니다.

 

인터스텔라 이야기가 여기서 나온 겁니다. 행성이 블랙홀 주위를 빠른 속도로 공전하면서 상대성이론에 의해 시간 지연 효과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결국 이 말 대로라만 블랙홀 주변에서 빛을 공급받고 살면서 우리가 100년 사는 시간을 거기는 1초 정도로 느낄 수 있다는 겁니다. 더 황당하죠.

 

여담이지만 남들보다 동안으로 살고 싶으면 빠른 속도로 원형을 그리며 도세요 최대한 빛의 속도로 돌아야 합니다. 빛의 속도로 돌지 못하면 골병 들어서 병원 신세 질 수도 있습니다.^^

 

 

 

참고사이트

http://naver.me/GBfKKSa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