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스·정보/건강·의학65 스킬라렌스(Skilarence Enteric Coated Tab) 장용정 복용 후기 부작용 건선 치료제로 뿌리는 엔스틸룸폼을 사용하고 먹는 약인 스킬라렌스를 복용하고 있다. 일단 둘다 만족스러운 편이긴 하나 오늘은 스킬라렌스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복용한 지 2~3개월 정도 돼 가는 것 같다. 엔스틸룸폼으로도 잘 낫지 않고 재발이 잘 되는 곳(손바닥과 머리)이 몇 군데 존재해서 스킬라렌스를 처방받아 복용하고 있다. 스킬라렌스는 면역조절제로서 기존 스테로이드 약제보다 간이나 신장에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에서 보험 적용돼서 시판된 지는 아직 몇 년 안 됐는데, 유럽에서는 이전부터 먹고 있던 약이다. 스킬라렌스는 서서히 약의 용량을 높여 나가는 특징이 있는데, 1주 차에는 하루 30mg을 먹고 9주 차에는 맥스인 720mg까지 용양을 늘린다. 건선이 반응하는 정도에 따라 양을 유.. 2023. 3. 6. 마그네슘 피해야 하는 사람 과 먹으면 도움 되는 사람?[마그네슘 효능 효과 부작용] 마그네슘 누가 먹으면 좋고 나쁜가? 콩팥 기능 저하자·장 민감자, 마그네슘 영양제 피해야 콩팥 질환이 있거나 콩팥 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마그네슘이 든 영양제를 먹지 않는 게 좋다. 이들은 마그네슘 섭취 자체를 주의해야 한다. 콩팥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수분과 마그네슘을 비롯한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전해질, 수소 이온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정도만 있도록 조절한다. 콩팥 질환자나 기능저하자는 이러한 조절 능력이 떨어져 마그네슘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몸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콩팥에 문제가 있다면, 전문가에게 적절한 하루 마그네슘 섭취량을 상담받고, 식단 등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장이 민감한 사람도 마그네슘이 든 영양제를 굳이 챙길 필요가 없다. 마그네슘은 종종 변비약으로 쓰일 만큼 장을 활발하게 하는.. 2023. 2. 25. 전이성 폐암 치료 가능한 암세포로 돌리는 치료법 개발? 한국 연구진 쾌거... 암 정복에 한 발짝 다가섰나? 암이 무서운 게 전이되는 건데, 그걸 막는 것만으로도 이미 노벨상 감 아닌가? 이제 암도 쉽게 완치 또는 만성 질환으로 관리하는 시대가 도래하는 건가? 앞으로 5~6년 뒤면 상용화가 가능해진다고 하니 지켜보면 좋을 것 같다. 통계청 발표 기준 2021년 국내 암 가운데 사망률 1위인 폐암. 연구진은 폐암 유전자들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는 컴퓨터 시물레이션을 정립한 후, 폐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도 가능하지만,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될 경우엔 생존율이 9% 크게 낮아집니다. 국내 연구진이 폐암 세포의 성질을 바꿔, 전이성 폐암을 치료 가능한 폐암 세포로 되돌리는 원천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암세포는 초기에는 전이 능력이 없지만 기존 약물로 치료되지 않고 악화하면 전이 능력을 갖추.. 2023. 2. 20. 요새 피곤해서 간에 좋다는 밀크씨슬 사 먹어 봤다. 간에 좋다는 건강 기능 식품 밀크씨슬 나이 먹으니 여기저기 아픈 데가 많아지는 거 같다. 금방 피곤해지고 앉아 있으면 졸음도 쏟아지고... 피로는 간 때문이야~ 간 때문이야~라는 노래도 있을 정도로 간이 중요하다는데 마트에서 장보다 밀크씨슬이 눈에 띄길래 사봤다. 찾아보니 밀크씨슬이 요즘 잘 나가는 거 같다. 종류도 다양하고 유기농이 좋다는데 그런 건 모르겠고 그냥 눈에 띄길래 있는 거 그냥 샀다. 성분을 살펴보니 밀크씨슬 추출물,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 B6, 판토텐산, 나이아신, 아연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나와있다. 섭취량 및 섭취방법을 보니 1일 1회, 1회 1정을 섭취하라고 되어 있다. 1일 섭취량은 1정에 800mg이고 30정이 있으니 한 달 정도 먹으면 될 거 같다. 밀크씨슬 추출물 .. 2022. 9. 9. 혈당 올리는 과당 듬뿍 함유된 과일, 많이 먹으면 내장 지방, 비만 해질 수 있다. 과일에 혈당 올리는 과당이 듬뿍, 과일의 배신 과일의 과당은 정제되지 않은 천연 과당이라 괜찮다고 생각했지만 정제된 설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 과일 많이 먹다간 뚱뚱해지고 몸에 염증 수치 올릴 수 있다고도 한다. 이제는 건강해지려고 뭘 먹기보다는 필요한 영양 섭취 외엔 소식을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TV 보면 자꾸 건강에 좋다고 뭘 먹으라고 권유하는 것들이 많은데... 이것저것 주워 먹다가는 골로 갈 수도 있겠다. 이해관계에 따른 뭘 먹으라고 하는 건강 방송들은 일단 한 번쯤 다시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걸려야 될 거 같으면 거르고... 다음은 건강에 필수 요소라고 생각했던 과일이 사실은 몸에 얼마나 해로울 수 있는지 역설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풍부한 영양소로 건강.. 2022. 9. 2. 복숭아 먹고 급체 했던 걸까? 복통, 명치쪽을 쥐어 짜는 듯한 고통을 느끼다. 아침 일찍 너무 아팠다. 몇 번 119 실려 간 적이 있어서 또다시 119타야하나 고민이 됐다. 작년에 요로 결석 때문에 119에 실려 간 적이 있었다. 등과 허리 부분의 통증이 몸을 제대로 펼 수 없을 정도로 아팠다. 119타고 대학병원 가서 소변검사, 피검사, 엑스레이와 ct 등 여러 검사를 하고 요로 결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진통제 주사를 맞고 약을 처방받고 한동안 고통에 시달리다 나았다. 요로결석은 특별한 치료 법은 없는 듯 보였다. 약 먹고 몸안에 돌이 몸 밖으로 빠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한다. 인위로 뺄 수도 있긴 한데 너무 작아서 빼기 힘들다고 했다. 그냥 약 먹고 저절로 빠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어느새 돌이 빠져나갔는지 며칠 후부터는 통증을 못 느꼈다. 오늘 명치 쪽이 너무.. 2022. 8. 10. 딸기 맛 진해 • 거담제 '코푸' 시럽 먹어보니.. 기침 가래에... 진해 • 거담제 코푸시럽 기침감기약 맞나? 기침이 좀 나서 코푸시럽을 먹고 있는데, 맛을 보고 깜짝 놀랐다. 약이 이래도 되나? 맛있다. sugar free라고 되어 있는데 달다. 딸기 맛이라 더 먹기 좋다. 아주 어릴 때 애기 시절 감기약 하면 조제한 가루약으로 종이에 싸서 나중에 먹을 때 수저에 가루약을 붙고 그 위에 물을 좀 섞어서 먹었던 기억이 있다. 맛은 어찌나 쓰던지 뱉어 버리곤 했는데 부모님이 억지로 먹이던 기억이 난다. 다 먹고 나면 사탕 하나를 입에 넣어 주셨는데... 예전에는 약은 입에 써야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쓴 약이 당연하던 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런데 요즘 나오는 약들은 먹기 좋게 맛을 첨가해서 그런지 먹는데 거부감이 안 든다. 진해 거담제인 코푸 시럽을 먹어보니 생각보단 괜.. 2022. 8. 9. 여자 연령별 머리 둘레, 얼굴 크기(머리 수직 길이, 너비) 여자 연령별 머리 둘레, 얼굴 크기 출처-사이즈코리아 19세 머리둘레 mm 측정인원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229 559.02 13.64 518 522.5 532.5 550.5 560 567 580.5 596.8 600 머리수직길이 mm 측정인원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229 224.48 10.01 198 200.9 210 217 224 230 242 254.1 265 얼굴너비 mm 측정인원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227 132.44 7.49 113 113 121 127 133 138 144 148.72 150 2.. 2022. 8. 7. 남자 연령별 머리 둘레, 얼굴 크기(머리 수직 길이, 너비) 남자 연령별 머리 둘레, 얼굴 크기 출처-사이즈코리아 19세 머리둘레 mm 측정인원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234 572.92 16.94 508 527.1 545.75 563 573 584 600 618.9 624 머리수직길이 mm 측정인원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234 241.58 9.96 214 217.35 224.75 235 242 249 257.25 265.65 270 얼굴너비 mm 측정인원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1분위 5분위 25분위 50분위 75분위 95분위 99분위 최대값 234 137.9 7.95 115 118.62 125.1 132 138 143 151 160 .. 2022. 8. 7.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